미국주식을 하다보니 투자용어가 다 영어로 되어있기때문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.
비교의 기준값은 S&P 500을 기준으로 하면 괜찮을듯 싶다.
지표 체크리스트
- 각지표들은 여기에 잘나와있음.
- 한국어로된 자료를 원하면 여기를 추천.
- 없는 지표의 경우 구글링해서 찾도록 하자! 부지런히!
*EPS(Earning Per Share : 주당순이익) 성장률
- 한주당 몇배의 순이익을 갖는가? (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값)
- ex) 100만원의 순이익, 발행주식수 523(1,000,000 ÷ 523 = 1912.xxx)
*Net Income(당기순이익) 성장률
- 번돈에서 사용한돈을 모두 뺀 실제 순익
- ex) 100만원벌었는데 5만원 영업, 10만원 마케팅, 20만원 재료값으로 사용 (100 - 5 - 10 - 20 = 65)
*PSR(Price/Sales Ratio : 시가총액/매출액 비율, 주가매출비율)
- 매출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 확인하는 지표.
*Net Profit Margin(순이익률) & Operating Margin(영업이익률)
- 매출대비 순이익이 얼마인지 확인
- Operating Magin(영업이익률) = 매출 - 비용(관리비, 광고비, 감가상각비 등 소요된 금액)
*Balance Sheet(대차대조표)
- Debt to equity Ratio(부채비율) : 자본에서 부채가 가진 비율은 몇인가?
- Current Ratio(유동성 비율) : 1년이내에 주기로 얼마나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가?
-> 유동비율이 높으면 신사업에 투자하거나 다른 기업을 인수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는것.
-> 기업에 대한 신용 척도로도 사용
-> (유동자산 ÷ 유동부채) * 100(%)
- Quick Ratio(당좌 비율) : 단기적으로 얼마나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가?
*ROE(Return On Equlity : 자기자본 이익률)
- 기업에 자본금 대비하여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가?
- (당기순이익 ÷ 자본비율) * 100(%)
*ESG(Environment, Social and Governance Risk Ratings :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들)
- 재무제표엔 없는 환경, 사회, 비재무적 요소들이 얼마나 건전한지 나타내주는 지표.
-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체크하는데 사용된다.
*Research & Development Inventment(R&D : 연구 개발비 투자)
- 연구개발비에 얼마나 투자하고있는지 체크
- 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는가? 정체하고있는가?
*Analyst Rating history (전문가 의견)
- 해당 종목에 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어떠한지를 확인.
-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.

'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제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확인해야할 필수지표 (0) | 2020.09.07 |
---|